잡설
오늘 나는 대학을 그만둔다, 아니 거부한다...
spiiike
2010. 3. 21. 11:30
오늘 나는 대학을 그만 둔다. G세대로 '빛나거나' 88만원 세대로 '빚내거나' 그 양극화의 틈새에서 불안한 한줄타기를 하는 20대, 무언가 잘못된 것 같지만 어쩔수 없다는 불안에 앞만 보고 달려야 하는 20대, 그 한 가운데에서 다른 길은 이것밖에 없다는 마지막 믿음으로.
이제 나의 이야기를 시작하겠다, 25년 동안 긴 트랙을 질주해 왔다. 친구들을 넘어뜨린 것을 기뻐하면서, 나를 앞질러 가는 친구들에 불안해하면서 그렇게 명문대 입학이라는 첫 관문을 통과했다. 그런데 이상하다. 더 거세게 채찍질 해봐도 다리 힘이 빠지고 심장이 뛰지 않는다. 지금 나는 멈춰 서서 이 트랙을 바라보고 있다. 저 끝에는 무엇이 있을까? 취업이라는 두번째 관문을 통과시켜 줄 자격증 꾸러미가 보인다. 다시 새로운 자격증을 향한 경쟁 질주가 시작될 것이다. 이제야 나는 알아차렸다. 내가 달리고 있는 곳이 끝이 없는 트랙임을.
이제 나의 적들의 이야기를 시작하겠다. 이름만 남은 '자격증 장사 브로커'가 된 대학, 그것이 이 시대 대학의 진실이다. 국가는 의무 교육의 이름으로 대학의 하청 업체가 되고 대학은 자본과 대기업에 '인간제품'을 조달하는 가장 효율적인 하청업체가 되었다. 더 비싼 가격표를 가진 자만이 접근할 수 있도록 온갖 새로운 자격증을 요구한다. 이 변화 빠른 시대에 10년을 채 써먹을수 없어 낡아 버려지는 우리들은 또 대학원에, 유학에 돌입한다.
'세계를 무대로 너의 능력만큼 자유하리라'는 넘치는 자유의 시대는 곧 자격증의 시대가 되어 버렸다. 졸업장도 없는 인생이 무엇을 할 수 있는가? 자격증도 없는 인생이 무엇을 할 수 있는가? 학습된 두려움과 불안은 다시 우리를 그 앞에 무릎 끓린다.
생각할 틈도, 돌아볼 틈도 주지 않겠다는 듯이 또 다른 거짓 희망이 날아든다. 교육이 문제다, 대학이 문제다라고 말하는 생각있는 이들조차 우리에게 이렇게 말한다. "성공해서 세상을 바꾸는 '룰러'가 되어라", "네가 하고 싶은 것을 해, 나는 너를 응원한다", "너희의 권리를 주장해, 짱돌이라도 들고 나서!" 그리고 칼날처럼 덧붙여지는 한 줄, "그래도 대학은 나와야지". 그 결과가 무엇인지는 모두가 알고 있으면서도.
큰 배움도 큰 물음도 없는 '대학(大學)'없는 대학에서, 우리들 20대는 투자 대비 수익이 나오지 않는 '적자세대'가 되어 부모앞에 죄송하다. 젊은 놈이 제 손으로 자기 밥을 벌지 못해 무럭하다. 스무살이 되어서도 꿈을 찾는 게 꿈이어서 억울하다. 이대로 언제까지 좆아가야 하는지 불안하기만 한 우리 젊음이 서글프다. 나는 대학과 기업과 국가, 그리고 대학에서 답을 찾으라는 그들의 큰 탓을 묻는다. 그러나 동시에 이 체제를 떠 받쳐온 내 작은 탓을 묻는다. 이 시대에 가장 위악한 것 중에 하나가 졸업장 인생인 나, 나 자신임을 고백할 수 밖에 없다.
그리하여 오늘 나는 대학을 그만둔다. 아니, 거부한다. 더 많이 쌓기만 하다가 내 삶이 시들어 버리기 전에, 쓸모 있는 상품으로 '간택' 되지 않는 인간의 길을 '선택' 하기 위해, 이제 나에게는 이것들을 가질 자유보다는 이것들로부터의 자유가 더 필요하다. 나는 길을 잃을 것이고 도전에 부딪일 것이고 상처 받을 것이다. 그러나 그것만이 삶이기에 지금 바로 살기 위해 나는 탈주하고 저항하련다. 생각한 대로 말하고, 말한 대로 행동하고, 행동한 대로 살아내겠다는 용기를 내련다.
이제 대학과 자본의 이 거대한 탑에서 내 몫의 돌멩이 하나가 빠진다. 탑은 끄덕 없을 것이다. 그러나 작지만 균열은 시작되었다. 동시에 대학을 버리고 진정한 大學生의 첫발을 내 딛는 한 인간이 태어난다. 이제 내가 거부한 것들과의 다음 싸움을 앞에 두고 나는 말한다. 그래, "누가 더 강한지는 두고 볼 일이다".
우연찮게 글을 읽었다.
네이버 뉴스란에 있는 제목은 자주 봤지만 그다지 흥미를 끌지 못하던 기사였는데, 우연찮게 읽은 이 대자보의 글자들은 잃어 내려 갈수록 그 치열함의 무게가 더해져 종래에는 내가 감당하기 힘든 무게의 망치로 내 뒷통수를 쳤다. 누구나 생각은 하고 있었지만 실천이란 말과는 거리가 너무 멀었던 생각들...
24살, 대학3학년생, 김예슬이란 학생이 자퇴를 하며 학교에 대자보로 쓴 글이다.
나를 돌아본다.
공고를 나와 취업을 하고, 대학은 필요 없다고 지금부터 열심히 하면 대학졸업한 사람보다 더 많이 벌고 인정을 받을 수 있다고, 생각했었다.
하지만
이런 나의 생각은 첫 직장에서 여지없이 무너졌다.
눈물은 내 나약함의 상징이라고 국민학교 고학년 부터 어떤일이 있어도 울지 않겠다던 다짐이 첫 직장에서 깨지고 눈물을 닦으며 사표를 내고 대학을 들어가기 위해 공부를 시작했었다.
사회는 녹녹하지 않다.
더구나 한 가정을 책임져야 할 남자라면(물론 여성도 마찮가지겠지만) 사회에 나가 부딪치는 학력과 대학 간판의 문제는 감당하기 힘든 문제가 된다.
운좋게도 대학원까지 졸업한 난 좋은 직장에서 회사를 다니며 단란한 가정을 꾸려 살고 있다.
내 딸이 만일 김예슬양이 된다면...
아마도 난.
학교를 계속 다녀야 된다는 생각 쪽으로 치우칠거다.
나이가 들어갈 수록 책임져야할 일이 많아지며 보수적이 되는거 같다.
http://news.khan.co.kr/section/khan_art_view.html?mode=view&artid=201003231659395&code=900315
이제 나의 이야기를 시작하겠다, 25년 동안 긴 트랙을 질주해 왔다. 친구들을 넘어뜨린 것을 기뻐하면서, 나를 앞질러 가는 친구들에 불안해하면서 그렇게 명문대 입학이라는 첫 관문을 통과했다. 그런데 이상하다. 더 거세게 채찍질 해봐도 다리 힘이 빠지고 심장이 뛰지 않는다. 지금 나는 멈춰 서서 이 트랙을 바라보고 있다. 저 끝에는 무엇이 있을까? 취업이라는 두번째 관문을 통과시켜 줄 자격증 꾸러미가 보인다. 다시 새로운 자격증을 향한 경쟁 질주가 시작될 것이다. 이제야 나는 알아차렸다. 내가 달리고 있는 곳이 끝이 없는 트랙임을.
이제 나의 적들의 이야기를 시작하겠다. 이름만 남은 '자격증 장사 브로커'가 된 대학, 그것이 이 시대 대학의 진실이다. 국가는 의무 교육의 이름으로 대학의 하청 업체가 되고 대학은 자본과 대기업에 '인간제품'을 조달하는 가장 효율적인 하청업체가 되었다. 더 비싼 가격표를 가진 자만이 접근할 수 있도록 온갖 새로운 자격증을 요구한다. 이 변화 빠른 시대에 10년을 채 써먹을수 없어 낡아 버려지는 우리들은 또 대학원에, 유학에 돌입한다.
'세계를 무대로 너의 능력만큼 자유하리라'는 넘치는 자유의 시대는 곧 자격증의 시대가 되어 버렸다. 졸업장도 없는 인생이 무엇을 할 수 있는가? 자격증도 없는 인생이 무엇을 할 수 있는가? 학습된 두려움과 불안은 다시 우리를 그 앞에 무릎 끓린다.
생각할 틈도, 돌아볼 틈도 주지 않겠다는 듯이 또 다른 거짓 희망이 날아든다. 교육이 문제다, 대학이 문제다라고 말하는 생각있는 이들조차 우리에게 이렇게 말한다. "성공해서 세상을 바꾸는 '룰러'가 되어라", "네가 하고 싶은 것을 해, 나는 너를 응원한다", "너희의 권리를 주장해, 짱돌이라도 들고 나서!" 그리고 칼날처럼 덧붙여지는 한 줄, "그래도 대학은 나와야지". 그 결과가 무엇인지는 모두가 알고 있으면서도.
큰 배움도 큰 물음도 없는 '대학(大學)'없는 대학에서, 우리들 20대는 투자 대비 수익이 나오지 않는 '적자세대'가 되어 부모앞에 죄송하다. 젊은 놈이 제 손으로 자기 밥을 벌지 못해 무럭하다. 스무살이 되어서도 꿈을 찾는 게 꿈이어서 억울하다. 이대로 언제까지 좆아가야 하는지 불안하기만 한 우리 젊음이 서글프다. 나는 대학과 기업과 국가, 그리고 대학에서 답을 찾으라는 그들의 큰 탓을 묻는다. 그러나 동시에 이 체제를 떠 받쳐온 내 작은 탓을 묻는다. 이 시대에 가장 위악한 것 중에 하나가 졸업장 인생인 나, 나 자신임을 고백할 수 밖에 없다.
그리하여 오늘 나는 대학을 그만둔다. 아니, 거부한다. 더 많이 쌓기만 하다가 내 삶이 시들어 버리기 전에, 쓸모 있는 상품으로 '간택' 되지 않는 인간의 길을 '선택' 하기 위해, 이제 나에게는 이것들을 가질 자유보다는 이것들로부터의 자유가 더 필요하다. 나는 길을 잃을 것이고 도전에 부딪일 것이고 상처 받을 것이다. 그러나 그것만이 삶이기에 지금 바로 살기 위해 나는 탈주하고 저항하련다. 생각한 대로 말하고, 말한 대로 행동하고, 행동한 대로 살아내겠다는 용기를 내련다.
이제 대학과 자본의 이 거대한 탑에서 내 몫의 돌멩이 하나가 빠진다. 탑은 끄덕 없을 것이다. 그러나 작지만 균열은 시작되었다. 동시에 대학을 버리고 진정한 大學生의 첫발을 내 딛는 한 인간이 태어난다. 이제 내가 거부한 것들과의 다음 싸움을 앞에 두고 나는 말한다. 그래, "누가 더 강한지는 두고 볼 일이다".
우연찮게 글을 읽었다.
네이버 뉴스란에 있는 제목은 자주 봤지만 그다지 흥미를 끌지 못하던 기사였는데, 우연찮게 읽은 이 대자보의 글자들은 잃어 내려 갈수록 그 치열함의 무게가 더해져 종래에는 내가 감당하기 힘든 무게의 망치로 내 뒷통수를 쳤다. 누구나 생각은 하고 있었지만 실천이란 말과는 거리가 너무 멀었던 생각들...
24살, 대학3학년생, 김예슬이란 학생이 자퇴를 하며 학교에 대자보로 쓴 글이다.
나를 돌아본다.
공고를 나와 취업을 하고, 대학은 필요 없다고 지금부터 열심히 하면 대학졸업한 사람보다 더 많이 벌고 인정을 받을 수 있다고, 생각했었다.
하지만
이런 나의 생각은 첫 직장에서 여지없이 무너졌다.
눈물은 내 나약함의 상징이라고 국민학교 고학년 부터 어떤일이 있어도 울지 않겠다던 다짐이 첫 직장에서 깨지고 눈물을 닦으며 사표를 내고 대학을 들어가기 위해 공부를 시작했었다.
사회는 녹녹하지 않다.
더구나 한 가정을 책임져야 할 남자라면(물론 여성도 마찮가지겠지만) 사회에 나가 부딪치는 학력과 대학 간판의 문제는 감당하기 힘든 문제가 된다.
운좋게도 대학원까지 졸업한 난 좋은 직장에서 회사를 다니며 단란한 가정을 꾸려 살고 있다.
내 딸이 만일 김예슬양이 된다면...
아마도 난.
학교를 계속 다녀야 된다는 생각 쪽으로 치우칠거다.
나이가 들어갈 수록 책임져야할 일이 많아지며 보수적이 되는거 같다.
http://news.khan.co.kr/section/khan_art_view.html?mode=view&artid=201003231659395&code=900315